1일 발생량 300t의 10분의1 수준…근본대책 절실

제주시, 제활용품 처리 뒤늦은 각성...효과는 ‘미미’
쓰레기 문제 ‘비상사태’ 인식...예비비 투입 검토 필요
제주시가 재활용품 혼합수거를 최소화하기 위해 뒤늦게 새로운 분리수거 시스템을 도입, 운영하면서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방식을 도입하더라도 실제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는 전체 배출량의 10% 남짓에 불과, 실제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4일 제주시에 따르면 병, 종이박스, 우유팩 등 다량배출 품목의 재활용을 높이고, 혼합 수거를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 이달부터 본격 시행한다.
특히 병류인 경우 이전까지 마대를 이용하면서 보관 및 이동 과정에서 파손, 수거 요원들이 손에 찔리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이에 제주시는 수거 시 감귤 컨테이너 박스를 사용하고, 수거 인력(18명)과 장비(1t 차량 9대)를 추가로 배치해 민간(한라공병·6t)에 위탁·처리하는 방식으로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과 수거시간을 절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이박스류인 경우 기존 압축차량(42대)을 활용해 주 1회(수요일·약 17t) 민간업체(금성자원)로 운반하고 있으며, 종이컵과 우유팩 등도 일반종이류와 분리해 역시 민간업체(청호제지)로 운반·처리하고 있다.
제주시는 “다량 배출 품목은 민간에서 처리함에 따라 봉개동 재활용품 선별장 대기 시간과 재활용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이는 제주시가 그동안 시민들이 애써 분리수거 한 재활용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일각에선 새로운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을 도입하더라도 실제 처리에는 효과를 거둘 수 없을 것이라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현재 제주시내 하루 평균 재활용품 배출량은 269.4t으로 지난 2015년 일평균 298.6t과 비슷한 수준이다. 재활용품 분리수거 개선을 통한 처리(하루 약 10t)를 하더라도 전체 발생량에 비해 터무니 없는 수준이어서 전체 제활용품 처리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과감한 인력·장비 투입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행정당국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제주도의회 하민철 환경도시위원장은 “쓰레기 처리 문제는 제주의 가장 시급한 현안 중 하나인데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지지부진 하고 있다”면서 “결국, 제주시장의 ‘의지’ 아니겠느냐. 수억원을 쓰면서 음악회도 개최한 바 있는데 현 상황을 ‘비상사태’로 인식하고 있다면 예비비 투입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