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과 관련한 유사인증제도의 난립으로 인한 혼란이 가중되면서 통합인증제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관광공사는 16일 ‘제주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방안 및 안내체계 개선’을 주제로 도내·외 전문가들을 초청, ‘제2차 제주관광 미래전략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안덕수 한국관광공사 관광인프라실장은 ‘관광품질 통합인증제 도입을 통한 관광발전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관광관련 인증제도는 단일화된 창구가 없어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관련 인증제도의 대한 검색도 용이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유사인증제도의 난립으로 관광객들에게 관광품질인증제도에 대한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현재 국내에는 각 부처 및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인증제는 숙박 15개, 음식점 68개, 쇼핑 2개에 달한다. 여기에 인증기준 및 절차, 인증마크도 상이해 관광객 혼란 및 신뢰도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그는 이어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관광품질 인증심사의 경우에는 심사매뉴얼, 평가기준표, 심사원 교육훈련 없이 이뤄져, 심사의 전문성과 공정성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그는 “현행 관광진흥법 상 등록 및 지정 업종을 대상으로 통합인증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적용대상은 우선 숙박업을 중심으로 하고 쇼핑과 음식테마, 관광안내소, 관광지, 여행사, 여행상품 등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증 취득 이후에는 인증기준 적합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인증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우수업체에 대해서는 홍보 및 마케팅 비용지원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