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연간 당근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제주지역 당근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급안정체계 구축을 위한 수급조절위원회 구성과 세척당근 차별화 정책을 바탕으로 한 연합사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당근 주산지 조직화를 통한 자율적 수급안정 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27일 농경연에 따르면 국내 당근은 봄·가을, 고랭지, 겨울당근 작형으로 구분돼 생산된다.
특히 겨울당근은 제주 구좌, 성산 등에서 주로 생산되며, 구좌지역은 제주도 당근 전체 면적의 87%를 차지할 정도로 특화돼 있다.
따라서 제주도 겨울당근의 경우 자체적인 조직화를 통해 자율적 수급안정사업을 마련하는데 유리한 기반을 갖고 있다. 여기에 겨울당근 전체 재배면적의 60%를 점유하고 있고, 지역도 동부지역에 한정돼 있어, 조직화 체계 구축은 타 지역보다 실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제주산 겨울당근의 반복적인 과잉생산시 자자체와 농협, 생산자(단체) 등이 사전·사후조치를 통해 수급안정을 도모해야 하지만 이를 주도할 수 있는 조직이 미흡한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당근 수급조절 위원회를 구성, 적정 재배면적을 유지 및 확보해 당근의 자율적 수급안정사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도가 중심이 돼 생산자단체, 학계, 소비자단체, 식자재업체, 농업관측센터 등이 참여해 가격과 물량에 따라 출하조절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생산자조직화를 통한 계약재배 면적의 안정적 확보도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를 위해서는 농협을 중심으로 과점적 지위에서 20~30% 수준의 계약재배가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적립금을 활용한 손실 보장체계 구축, 환원사업, 생산자교육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가공사업체계 구축도 주문했다. 당근은 중국 및 베트남에서 세척당근이 수입되면서 편의성을 추구하는 식자재 업체 등으로 소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경연 관계자는 “제주산 당근이 가격 변동체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입산 세척당근과 차별화 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지속적 생산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연합사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