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 노후 수단 주목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 노후 수단 주목
  • 김승범 기자
  • 승인 2015.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집주인 리모델릴 임대주택’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신청자 평균나이가 은퇴세대인 56세로 나타나 노후 수단으로서 활성화 여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 제1차 시범사업(80호)의 신청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제주를 비롯해 전국 12개 LH 지역본부에서 총 358건이 접수, 4.47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22건으로 가장 많은 접수를 기록했고, 제주에서는 2건이 접수됐다.

집주인들의 연령은 평균 56세로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은퇴한 50대 이상의 신청인이 전체 69%를 차지했다.

또 집주인 89%(320건) ‘단독·다가구 주택’을 활용해 리모델링 임대주택 사업에 참여하고자 했으며, 임대기간이 짧은 ‘자산형’보다는 임대기간이 길어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는 ‘연금형(76%)’을 선택했다.

주거환경을 개선하면서 임대수익도 얻는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주택을 안정적인 노후대비 수단으로 선택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제주시 구도심 지역 등에도 오래된 단독·다가구 주택이 많아 이 사업이 제주지역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활성화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11월말까지 최종선정자의 2배수를 예비사업자로 선정하고, 융자적정성 여부를 판단해 12월초 최종사업자를 발표할 계획”이라며 “시범사업 후 2017년부터 긍급물량 확대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