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표 브랜드 적극 활용한 마케팅 필요”
“제주대표 브랜드 적극 활용한 마케팅 필요”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5.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세미나서 한라병원 김상훈 처장 강조

제주 미래산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육성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제주의 ‘청정’ 이미지를 대변할 수 있는 친환경 경영시스템 도입과 ‘친환경벨트’를 구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미케어(MICARE·목적형 웰니스관광)산업 생태계 육성 지원사업 일환으로 한 ‘제주 미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세미나가 제주도관광협회와 제주한라병원 주관으로 29일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제주기업 현황 및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이라는 주제발표에 나선 제주한라병원 김상훈 대외협력처장은 “제주도는 ‘청정’으로 대변되는데, 그만큼 제주기업도 깨끗한 환경을 내걸며 홍보의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며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나아가 제주기업의 영세성 문제로 맞닥뜨리는 유통 및 마케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삼다수’ 등 제주자원 브랜드를 활용해 인지도를 높이는 방안과 함께 협동조합 등을 통한 유통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제주기업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유통 및 마케팅”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주의 대표 브랜드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실태조사 결과 상당수 기업들이 제주 대표 브랜드로 ‘삼다수’를 꼽았고, 삼다수를 연계했을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고 설명한 뒤 “ ‘삼다수’라는 브랜드를 유통 및 마케팅 애로해소 장치로 활용한다면 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방안의 예로 ‘삼다수로 만든 당근’ ‘삼다수로 만든 00주류’ 등을 들었다.

이와 함께 그는 “기업 간 공동 마케팅 및 물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협동조합’을 출범시키고, 기업들간 하나의 단지를 확보해 친환경벨트를 구축할 경우 ‘청정기업’ 이미지를 충분히 배가시킬 수 있어 어려움도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제주미래비전 핵심가치. 청정과 공존’에 대한 주제발표에 나선 김태윤 제주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청정과 공존의 가치가 제주도민의 문화가 될 수 있도록 청정과 공존을 일상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시설물의 이름, 상징적인 장소, 건물 이름 등에 활용, 청정과 공존이라는 개념적 용어를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