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커(중국인 관광객)의 귀환, 건설·부동산경기 호전 등으로 제주도의 경기전망지수가 40포인트 이상 뛰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3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4분기 전망치는 ‘87’로 집계된 가운데 유커의 귀환으로 소비훈풍이 불고 있는 제주는 ‘132’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감경기를 뜻하는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지역별로는 대부분 지역 체감경기가 기준치를 밑도는 가운데 제주의 경기전망지수는 132로 42포인트 상승했다.
매달 30만명 가량의 관광객이 들렀던 제주는 메르스로 7월 8만명까지 감소했으나 지난달 21만여명으로 증가해 소비훈풍이 불고 있다는 것이 상의 측 설명이다.
상반기 연기됐던 행사 개최로 식음료 같은 소비재 산업경기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실제로, 제주에서 비타민음료를 생산하는 한 기업은 9월부터 실적이 몰라보게 개선되고 있다.
메르스로 인해 급감했던 중국인관광객이 최근 다시 증가하면서 제품 판매량이 같이 늘어났다는 것. 해당 기업은 이 같은 속도로 중국인 관광객 수가 늘어나면 메르스 불황을 빠르게 만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기에 유입인구 증가, 외국인 투자로 인한 건설경기 호황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올해 상반기 제주의 순이동 인구는 작년에 비해 25.1% 늘어 주택수요가 급증했고, 인구증가에 따른 건설수주(7월)도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2%나 증가했다.
지역 건설회사는 민간공사 주문이 늘어나 원자재나 레미콘, 건설인부가 부족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도 있을 정도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에 바라는 정책과제로 기업들은 ‘내수진작’(54.4%), ‘기업 자금난 해소지원’(21.9%), ‘규제개선’(9.0%), ‘기업 인력문제해소 지원’(7.0%), ‘창조경제 활성화’(5.2%) 등을 차례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