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근로자 10명 중 4명 ‘비정규’
도내 근로자 10명 중 4명 ‘비정규’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5.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한정애 의원 국감서 지적
비율 42.5% 전국서 가장 높아

제주도내 임금근로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근로자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열악한 고용환경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정애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년 지역별 실업률 및 비정규직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제주지역은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이 42.5%에 달했다.

제주지역 전체 임금근로자 20만명 중 정규직은 11만5000명이었고 나머지 8만5000명이 비정규직이었다.

이는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로 전국 평균(32.4%)과 10.1%포인트나 차이났다.

제주에 이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 41.9%, 광주 39.7%, 전북 39.5%, 전남 38.9%, 대전 38.1% 순이었다. 이에 반해 비정규직 비율이 낮은 지역은 울산 26.5%, 경남 28.4%, 경기 29.7% 등이었다.

비정규직 비율이 많은 지역은 구성 인원의 연령이 60세 이상이 많고, 종사하는 업종이 주로 농림 어업 분야로 1일 근로자의 비율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한 의원은 설명했다.

실업률의 경우 제주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2.0%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실업률은 3.5%로 서울이 4.5%로 가장 높았고, 대구 3.9%, 인천 4.7%, 부산 3.8% 순으로 높았다.

한 의원은 “통계를 역설적으로 해석하면 실업률이 높은 지역은 청년층이 많고 경기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고,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노령층이 많고 산업구조가 1차 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며 “이는 그동안의 국토발전 정책이 불균형적으로 이뤄진 결과로 보다 균형있는 국토발전정책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