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남 농해수위원장 국정감사서 지적
박근혜 대통령의 감귤 명품화 공약에 따라 5%에 불과한 고품질 감귤의 비율을 30%까지 확대하겠다던 정부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제 고품질 감귤 품질 개발은 1건도 없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제주시 을)은 22일 농촌진흥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감귤 품종 개발 및 보급 정책의 실패 등을 질의했다.
정부는 2013년 8월 박근혜 대통령의 감귤 명품화 공약 이행을 위해 2012년 5% 수준인 당도 11브릭스 이상, 산도 0.9% 이하인 고품질 감귤을 2017년에는 30%로 확대하는 내용의 감귤 명품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농촌진흥청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농진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개발한 24개 품종 중 노지용 온주밀감은 4품종에 불과하고, 이 중 고품질 감귤 기준에 부합하는 품종은 없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또 감귤의 경우 5품종이 374ha의 면적에 보급됐지만, 국산품종 점유율은 1.8%에 불과하다며 “감귤은 품종 개발 및 보급 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개발 난도가 높아 (연구) 인력의 증원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감귤의 품종개발 인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대학을 합해 8명이며, 일본은 35명, 중국은 33명이 감귤 육종을 전담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이와 함께 정부가 감귤 명품산업 육성대책 추진을 위해 2013년부터 오는 2017년까지 국비 2138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품종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예산은 3개 사업에 90억원에 불과하다고 질타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감귤무병묘생산시설 및 신품종보급 시범포설치의 경우 올해까지 12억5000만원이 투입될 예정이었지만 실제로는 5억원의 국비만 지원됐고, 골든씨드프로젝트도 지난해까지 3개 감귤 신품종 개발을 계획해 20억원의 품종개발 연구비가 투입됐지만 개발 실적은 없다고 꼬집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따라 “고품질 감귤 품종 개발의 기본 토대를 만들지 않은 상태에서 감귤 경쟁력 강화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감귤 품종 개발 및 보급 정책을 대폭 수정하고 인력과 예산을 투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