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던 제주지역 가계대출이 ‘숨고르기’ 양상을 보이면서 증가폭이 비교적 크게 축소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본부장 정상돈)가 최근 내놓은 ‘5월중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도내 금융기관 여신은 전달에 비해 1964억원 늘어 5월말 잔액은 14조9073억원으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은 전달 1348억원 증가에서 5월에는 906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고, 비은행금융기관은 1068억원 증가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 농어촌진흥기금과 중소기업육성자금 등 정책자금 취급액이 늘어난 것이 여신 증가폭 확대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대출항목별로는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 등 기타대출 모두 줄면서 월중 585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달 1551억원 증가한 것에 비하면서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 지난 5월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6조6442억원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24억원 줄어들면서 잔액은 2조6398억원으로 나타났다.
기타대출은 609억원 늘어 전달(744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줄어든 것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안심전환대출 채권의 일부가 5월 주택금융공사 이관됐고 주택매매거래도 전달에 비해 11.6%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농어촌진흥기금 등 정책자금 대출 영향으로 여신 증가폭이 크게 확대된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역시 월중 233억원 늘어 전달 증가폭(612억원)에 크게 못 미쳤다.
5월 금융기관 수신 잔액은 사상처음으로 20조원을 넘어서면서 20조866억원을 기록했다.
예금은행 수신은 요구불예금과 시장성 수신이 감소로 전환됐지만 저축성예금이 늘면서 1078억원 증가, 전달(1067억원) 수준의 증가폭을 유지했다.
비은행금융기관 수신은 비과세 정기예탁금과 부동산 신탁, 혼합형 펀드 등으로 자금이 유입되면서 전달(731억원) 증가폭보다 갑절 이상 확대된 1557억원 늘었다.
한편 5월말 현재 도내 예금은행의 대출연체율은 0.61%로 전달(0.60%)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