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공헌활동 펼치지만
도민 피부 와닿는 방안 부족
기금출연제도화 등 필요해
중국의 아웃바운드 관광객이 지난해 1억명에서 향후 4억명으로 증가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주 면세시장 규모도 중국 아웃바운드 수요에 비례해 점차 커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관광수입 역외 유출 방지와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금 출연 제도화와 함께 시내 면세점 경쟁에 공적 조직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부상하고 있다.
관광산업 성장에 따른 과실을 독식하고 있다는 비판여론을 잠재우려 대기업 시내 면세점들이 앞 다퉈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피부에 와 닿는 지역 환원 방안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실례로 롯데의 경우 올해 30억원의 상생기금 마련과 현지 법인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지만 신라인 경우 지난해 특허권을 따낸 후 눈에 띄는 움직임이 없어 도민 사회에서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만은 않은 게 현실이다.
때문에 면세점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기금으로 출연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제주도는 면세점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제주관광진흥기금으로 출연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정부가 난색을 표하면서 표류하고 있다. 규제완화 방침에 어긋나고 부담금 관리 기본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다. 제주도의 적극적인 정부 설득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전향적인 인식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민간영역으로만 간주되며 등한시 돼왔던 시내 면세점 시장도 이제 공적 조직이 참여, 건강한 ‘제주형면세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동안 면세사업은 중국 단체관광 중심구조 속에서 저가관광, 노투어피 등을 만회하려는 과다한 송객수수료 구조 속에 대기업이 아니면 운영할 수 없는 구조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이제는 면세점 수익의 지역환원과 제주관광 곳곳에 뿌리내린 음성적 송객 수수료를 바로 잡아나가는 첫 단추를 끼워야 한다는 의견이 상당하다.
그 첫 단계로 공적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이 참여, 대기업 면세점과의 협의체 구성 등의 방안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광학계 관계자는 “여행사가 대형면세점의 송객 수수료만을 주요한 수익으로 삼아 저가 단체 관광상품을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며 “기존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진 제주 면세시장 구도 속에서 공적조직이 참여, 투명하고 건강한 면세시장 질서를 확립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