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객 메르스 확진…관광시장 ‘초비상’
제주관광객 메르스 확진…관광시장 ‘초비상’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5.0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확진 환자 탑승 대한항공 승무원 등 격리조치
신라호텔 영업정지…성수기 코앞 위기감 고조

제주 여행을 다녀간 42세 남성(141번 환자) A씨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판정을 받으며 비상이 걸렸다. 관광 당국 및 업계에서도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18일 제주도 메르스 관리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141번 환자는 지난 5일 낮 항공편으로 제주에 도착해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제주관광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A씨는 지난 5일 낮 12시15분 김포발 제주행 KE1223편을 이용했다. 이후 제주에서 관광일정을 마치고 8일 오후 4시 KE1238편을 타고 김포공항으로 돌아갔다. 해당 항공기에는 각각 승객 317명, 212명이 탑승해 있었다.

현재 대한항공 승무원 14명과 카운터 직원 4명, 게이트 직원 4명 등은 격리조치 됐으며, 이들 모두 현재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대한항공은 보건당국에 해당 여객기 두 편의 탑승객 전체 명단과 연락처를 제출했다.

A씨가 묵었던 신라호텔 측은 비상대책본부를 가동, 제주신라호텔에 대한 영업정지 결정을 내리고 예약 고객들에게 영업정지 사실을 알리고 있다. 인근에 위치해 있는 롯데호텔과 켄싱턴 제주호텔 등 특급호텔도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자체방역에 나섰다.

특히 메르스 사태 이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확진 환자 발생으로 일대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문제는 7~8월 극성수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확진 판정으로 ‘메르스 청정지역’이라는 이미지가 훼손돼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그동안 제주는 ‘메르스 청정지역’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직항편 운항이 대부분 중단되거나 축소되고, 일부 국내선 항공편도 감축운항이 이뤄지는 등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실제 6월 들어 지난 17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57만 377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줄었다. 그나마 내국 관광객은 5.6% 늘며 성장세는 유지하고 있지만 외국 관광객은 26.6% 급감,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호텔업계인 경우 메르스 사태 이후 전체 20~30% 정도 예약이 빠진 상태에서 성수기 특수는 고사하고 절반 이상 객실누수가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를 지켜보며 제주에서는 확진 환자가 나오지 않길 바랐는데 걱정이 크다”며 “조속히 후속대책을 세워 더 큰 사태로 번지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관광협회는 각 회원사 등에 확진 환자 발생 사실을 통보, 자체 방역 및 의심증상 종사자 등에 대해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하고 나섰다.  ‘위기관리 대책본부’를 본격 가동하고 있는 제주관광공사도 사태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제주도관광협회 관계자는 “이날 각 회원사에 메르스 안전수칙 요령을 다시 한 번 배포하는 등 확산 방지와 불안감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며 “메르스 진정 후 수요회복과 정상화를 위해 제주도와 관광공사 등과 함께 대대적인 국내·외 관광객 유치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는 도내 메르스 유입 차단을 위해 월 3회 특별방역을 주 2회로 확대 시행키로 했다. 또 공항청사 시설물은 분무 및 분사방역 등으로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보안검색장 주변지역에 스팀 소독기를 상시적으로 배치 운영, 공항 이용객의 메르스 공포를 불식시켜 나갈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