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혁신이야기’ 주제 특강서 강경 입장 거듭 피력
“생산자 단체와 대화 후 고품질 감귤 생산 정책 추진”

원희룡 도지사는 가공용으로 수매하는 비상품 감귤에 지원하던 ㎏당 50원을 올해부터 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거듭 재확인했다.
또 비상품 감귤을 상습적으로 반출하는 선과장은 조례 개정을 통해 더 이상 운영할 수 없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원 지사는 지난 22일 제주상공회의소(회장 김대형)과 제주도관광협회(회장 김영진)가 공동으로 제주그랜드호텔에서 주최한 ‘제69차 제주경제와 관광포럼’에서 ‘제주 혁신이야기’를 주제로 한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원 지사는 지난 14일 발표한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방안에 대해 농업인단체 등을 중심으로 반발기류가 형성되자 재차 기존입장을 확인하면서 ‘맞불’을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농업인단체가 지금까지 도 당국이 비상품 유통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한 듯 “조례를 개정해서라도 비상품 감귤을 고의적으로 밀반출하는 선과장은 문을 닫게 하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피력했다.
선과장에 상주하는 품질관리원을 둘 수 없도록 조례 개정을 하면 해당 선과장은 더 이상 운영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원 지사의 설명이다.
그는 특히 “감귤산업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면 수백억원이라도 써야 한다”고 전제, “그렇지만 비상품을 처리하는 데 수십억의 보조금을 투입하는 것이 아깝다. 제한없이 비상품을 수매하니 밭에 떨어진 감귤까지 폐지 수집하듯 다 모아서 수매 현장에 나온다”고 일부 농가들의 비뚤어진 의식을 겨냥했다.
그는 농민단체 등 생산자단체와 충분한 대화와 토론을 거쳐 구체적인 방침을 확정하겠다“면서 ”고통없이는 변화할 수 없다는 각오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이 자리에서 또 “제주의 가치를 키우기 위해 난개발을 억제하고 지역농업과 연관산업을 6차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며 “고부가가치 산업과 기업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 청정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평화의 섬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소개했다.
원 지사는 “제주의 관광시장이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지만 저가여행으로 인한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면서 “언어와 접근성, 편리성을 대폭 확충해 제주관광을 변모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